본문 바로가기

입사 첫달 4대보험 부과될까? 4대보험 입사일 기준

갓생다곰 2024. 11. 28.
반응형
4대보험 입사일 기준

 

 

안녕하세요, 다곰입니다! 오늘은 입사일에 따라 달라지는 4대보험료 부과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포함하며, 입사일에 따라 각 보험료의 부과 시점이 달라집니다.


1. 입사일이 해당 월 1일인 경우

입사일이 해당 월 1일이라면, 그 달의 4대보험료가 모두 부과됩니다. 즉, 입사한 첫 달부터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보험료를 전부 부담하게 됩니다.

예시:

  • 입사일: 11월 1일
  • 적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모두 11월부터 부과

이 경우,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예상보다 클 수 있으니 첫 월급 명세서를 받을 때 미리 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입사일이 해당 월 2일~말일인 경우

입사일이 해당 월 2일에서 말일 사이일 경우, 보험 종류에 따라 부과 시점이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 적용 시점: 다음 달부터 부과됩니다.
  • 이유: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매월 1일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일 이후에 입사하면 그 달에는 보험료가 부과되지 않고, 다음 달부터 적용됩니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 적용 시점: 다음 달부터 부과됩니다.
  • 이유: 2023년 까지는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입사일과 동시에 적용되므로, 해당 월의 보험료가 부과되었으나, 2024년부터는 건강보험, 국민연금과 같이 다음 달부터 부과됩니다.

  • 예시: 입사일 11월 5일
    • 국민연금, 건강보험: 12월부터 부과
    • 고용보험, 산재보험: 12월부터 부과

단, 국민연금/고용보험은 입사월 부과 희망으로 선택 시 입사월에도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4대보험 취득신고 처리 기간

입사일에 4대보험 취득신고를 하더라도, 신고 접수 후 처리까지 통상 3~7일 정도 소요됩니다. 따라서 입사일이 1일이더라도 신고 완료일에 따라 해당 월에 보험료가 부과되지 않고, 다음 달에 합산되어 부과될 수 있습니다.


4. 4대보험 취득신고 기한과 주의사항

4대보험 신고 기한:

  • 건강보험: 입사일로부터 14일 이내
  •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입사한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 기한 내에 등록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회사나 본인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불이익 방지 팁:

  • 입사 후 바로 회사에 4대보험 신고 여부를 확인하세요.
  • 첫 월급 명세서에서 공제 내역을 꼼꼼히 확인해 이상이 있다면 인사팀에 문의하세요.

5. 4대보험료 계산 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국민연금:

  • 월 소득의 9% 중 근로자와 회사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건강보험:

  • 월 소득의 7.09% 중 근로자와 회사가 각각 3.545%씩 부담합니다.
  • 추가로 건강보험료의 12.27%에 해당하는 장기요양보험료가 부과됩니다.

고용보험:

  • 근로자는 월 소득의 0.9%를 부담합니다.
  • 회사는 업종에 따라 추가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

  •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으며, 전액을 회사가 부담합니다.

6. 4대보험료의 중요성

4대보험료는 근로자의 소득 일부를 공제하지만, 이는 미래의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 국민연금: 은퇴 후 연금으로 지급됩니다.
  • 건강보험: 의료비 부담을 줄여줍니다.
  • 고용보험: 실직 시 실업급여를 제공합니다.
  • 산재보험: 업무상 재해 발생 시 보상을 제공합니다.

마무리하며

입사일에 따라 4대보험료 부과 시점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입사일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확인하고, 적시에 취득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보험료 납부나 과태료 부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궁금한 점 남겨주세요!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